2009년 12월 6일 일요일

Auslogics Disk Defrag - 가볍고 빠른 디스크 조각모음

 

 

홈페이지

http://www.auslogics.com/en/

 

포터블 다운로드

http://auslogics.com/en/downloads/disk-defrag/ausdiskdefragportable.exe

 

제가 만든 포터블

 

 

 

 

작년 6월에 소개해드렸던 프로그램인데, 글 수정해서 새로 올려봅니다.

 

Auslogics Disk Defrag는 가볍고 빠른 무료 조각모음 프로그램입니다. 상용 프로그램에 비하면 최적화 부분에서 떨어질 수 있지만 기본적인 조각모음에는 이만한 프로그램이 없는 것 같습니다. 속도가 정말 빠른 편입니다.

 

사용법은 따로 설명드릴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설치버전은 한글을 지원하는데 홈페이지에 링크된 포터블 버전은 한글을 지원하지 않더군요.

그런데 보니까 WinRAR SFX로 만들어져 있길래 제가 풀어서 한글 언어파일 넣고 재패키징 했습니다.

 


출처 : http://snoopy.textcube.com/104 컴퓨터를 좋아하는 사람들 by snoopy

VMWare 설치 후 CDROM 자동실행이 안 되는 문제

방명록에 질문 남겨주신 분이 계셔서 간단히 답변드립니다.

VMWare를 설치하고 나면 CD/DVD롬 자동실행 기능이 중지됩니다.

설명은 메인컴의 오토런이 켜져있으면 가상머쉰에 예상치 못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나오지만

평소에는 가상머쉰을 자주 사용하지 않으니 오토런이 없어서 오히려 불편을 겪는 분들도 계실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오토런 켜져있다고 해도 그다지 예상치 못한 문제를 야기할 것 같지는 않네요 ㅎㅎ

 

 

 

 

 

설정하신 다음 재부팅 or 로그오프 해주시면 내용이 적용됩니다.

데몬에 오피스 2007을 넣으니 자동실행이 잘 뜨는군요.

 

 

 

 

(추가)

UAC를 끄고 살다보니 항상 이런 부분을 신경쓰지 못하는군요. 체크박스가 비활성화 되어 있다면 관리자 권한으로 VMWare를 실행시키셔야 합니다.

 

이런 상태라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줘야 함

 

 

출처 : http://snoopy.textcube.com/1208 컴퓨터를 좋아하는 사람들 by snoopy

ReadyFor4GB - 32비트 윈도우에서 램 4GB 이상 사용하기

 

 

홈페이지

http://zh-deepxw.blogspot.com/2009/04/readyfor4gb.html

 

다운로드

 

 

 

 

윈도우 7과 비스타 32비트에서 메모리를 4GB 이상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패치입니다.

최대 128GB 까지 지원 가능한 것 같습니다.

 

제가 잘은 모르겠지만 방식을 대충 살펴보니

커널 파일인 ntkrnlpa.exe 파일을 패치한 다음 ntkr128g.exe 라는 이름으로 하나 저장해두고

부팅시 패치된 커널파일을 선택하여 부팅할 수 있도록 멀티부팅 메뉴에 추가해주는 방식입니다.

 

그러니까 정상적인 커널의 부팅도 그대로 유지하면서

패치된 커널로 부팅하는 메뉴가 추가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걸 사용한다고 해도 시스템이 망가질 이유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원본 파일은 그대로 보존되니까요.

 

먼저 ReadyFor4GB.exe 파일을 실행하여 Apply 눌러서 커널을 패치하신 다음

AddBootMenu.cmd 파일에 우클릭 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주시면 부팅메뉴에 패치된 모드가 추가됩니다.

 

저는 비스타에서 테스트했는데 부팅메뉴에 다음과 같은 이름이 추가되었습니다.

 

Microsoft Windows [Version 6.0.6002] [128GB with ntkr128g.exe]

패치된 모드로 부팅을 해보니 4GB 잘 나오는 것 같기는 한데 저는 전문가가 아니라서 잘 모르니, 이 프로그램에 문제점이 있다면 고수님들께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멀티부팅 메뉴가 나타나지 않고 계속 패치된 모드로 쓰고 싶으시다면

기존 부팅메뉴를 삭제해버리면 되겠지요.

시작메뉴 검색창에 msconfig를 입력하신 다음 부팅 탭에서 불필요한 항목을 삭제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부팅시간 12초로 설정된 부분도 수정하시려면 수정하시구요.

패치모드 항목을 선택한 다음 기본값으로 설정 누르시면 패치모드가 기본 부팅으로 잡히겠지요.

 

제 생각에 정상모드를 삭제하는 것 보다는 패치모드를 기본값으로 설정해두고

제한시간을 짧게 잡아두는 쪽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래야 나중에 정상모드로만 부팅할 수 있도록 되돌리기 쉬울테니까요.

 

 

 

 

만약 패치모드로 부팅한 다음 패치모드의 부팅메뉴 이름을 수정하시려면 bcdedit으로 수정하시면 되겠죠.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띄우신 다음

 

bcdedit /set {current} description "Windows 7 Ultimate K x86"

 

이런 식으로 적용하시면 됩니다. 간혹 부팅했을 때 자신의 식별자가 {current}가 아닌 {default}로 나올 수도 있는데 (기본값으로 지정한 경우에 간혹) 그럴 때는 {current} 대신 {default} 라고 적어주시면 되겠지요.

 

 

만약 패치모드로 부팅했는데 더이상 패치모드를 사용하기 싫으시고, 이미 정상모드 메뉴는 삭제하셨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시면 됩니다.

 

bcdedit /deletevalue {current} testsigning

bcdedit /deletevalue {current} kernel

bcdedit /deletevalue {current} pae

 

출처 : http://snoopybox.co.kr/1203 컴퓨터를 좋아하는 사람들 by snoopy

2009년 12월 5일 토요일

WinMend Folder Hidden - 폴더 숨기는 프로그램

 

 

홈페이지

http://www.winmend.com/folder-hidden/

 

다운로드

 

 

 

 

무설치

 

 

 

 

폴더나 파일을 숨겨주는 프로그램인데 가볍고 프리웨어라서 부담없이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설치는 그냥 제가 설치한 폴더를 통으로 압축해서 올려드리는 것입니다.

무설치로 써도 잘 작동하는 것 테스트 완료했습니다.

 

저는 혼자서 컴퓨터를 쓰기 때문에 이런 프로그램을 사용할 일이 없는데, 궁금해서 한번 테스트해봤더니 성능이 너무너무 강력하네요. 일단 한번 숨겨두면 포맷을 하든 무슨 짓을 하든 보이지 않습니다. 단순히 윈도우 탐색기에서 숨기는게 아니고 하드 자체에 뭔가를 기록하는 것 같습니다. (접근 불가능한 휴지통에 옮기는 방식 같네요.)

 

현재 저는 XP, 비스타, 윈도우 7을 멀티부팅으로 사용중인데 윈도우 7에서 숨겨둔 폴더는 XP나 비스타로 부팅해도 여전히 보이지 않았습니다. 심지어 윈도우 7 DVD를 넣고 부팅해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즉 윈도우 레지스트리와는 상관없이 원하는 폴더나 파일을 숨겨버리는 매우 강력한 프로그램입니다.

 

사용법은 매우 간단하지만, 친절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최초 프로그램 실행시 비밀번호 설정창이 뜹니다. 6~15자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메인 화면은 매우 직관적이고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단 테스트를 위해 D 드라이브에 동영상, 사진 이라는 폴더를 생성해봤습니다.

 

 

 

폴더 숨기기 버튼을 누른 다음 동영상 폴더를 지정해봤습니다.

 

 

 

그럼 동영상 폴더가 숨겨지는데, Status 쪽에 빨간색 글씨로 Hidden 이라고 되어있으면 숨겨진 상태라는 말입니다.

 

 

 

잘 숨겨졌는지 확인해볼까요? 보시다시피 사진 폴더는 보이는데 동영상 폴더는 보이지 않습니다.

 

 

 

단순히 탐색기 상에서만 보이지 않는게 아닙니다. 명령 프롬프트에서도 들어가지 못하며, 탐색기 주소창에 직접 경로를 입력해도 역시 들어가지 못합니다.

 

 

 

앞서 말씀드렸지만 다른 윈도우로 부팅을 해도 역시 못 보는건 마찬가지입니다. F8 복구모드로 들어간 다음 확인해봤습니다. 역시나 보이지 않습니다.

 

 

 

다시 동영상 폴더가 보이도록 만드려면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풀어줘야 합니다. 일단 비밀번호를 물어보는데 최초에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제가 실험해본 결과 포맷하고 윈도우를 새로 설치한 다음 다시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비밀번호를 새로 설정하는 창이 뜨고 (최초 실행이라고 인식하니까) 그렇게 들어가면 기존에 숨겨두었던 폴더 리스트가 나타나게 되어 풀어줄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비밀번호는 절대로 잊어버리지 않도록 잘 기억해두세요. 그런데 포맷은 제가 겁주려고 해본 소리고 ^^;; 설령 비밀번호를 잊어버리셨다 하더라도 굳이 포맷하실 필요는 없고 윈도우 7 DVD같은 PE로 부팅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하시면 해결이 될겁니다.

 

아무튼 숨겨진 폴더를 다시 풀어주려면 선택하고 Unhide 눌러주시면 됩니다. 다시 숨기려면 Set to hide 해주시면 되겠지요.

 

 

 

이렇게 숨김폴더를 다시 풀어주시면 사라졌던 동영상 폴더가 잘 보이게 됩니다.

 

 

 

 

 

이렇게 유용한 프로그램이 가볍고, 무료이고, 사용하기 쉽고 편리하니 더이상 바랄게 없을 것 같습니다.

 

 

 

(추가)

Recycler 폴더 절대로 지우려고 시도하지 마세요.

 

호기심 덕분에 동영상 다 날아갔습니다. ^^

보니까 Recycler (XP에서의 휴지통) 폴더에 옮기는 방식 같은데 이 폴더는 삭제되지 않지만 제가 삭제를 시도하다가 설정파일이 날아가버려서 복구가 불가능해졌습니다. 대략 이름을 이상하게 길게 지어서 이 폴더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해서 숨김효과를 주는 방식 같습니다.

 

결국 Recuva 1.32.444 - 파일 복구 프로그램 으로 파일 살리고 있습니다. ㅠㅠ

 

 

출처 : http://snoopy.textcube.com/1204 컴퓨터를 좋아하는 사람들 by snoopy

Partition Wizard Home Edition - 무료 파티션 관리 프로그램

 

 

홈페이지

http://www.partitionwizard.com/

 

다운로드

 

 

 

 

무설치

 

 

 

 

가볍고, 무료이고, 윈도우 7 64비트도 지원하며, 무설치로도 사용 가능한 파티션 관리 프로그램입니다.

잠깐 테스트 해봤는데 만족스러웠습니다.

무설치 파일은 그냥 제가 설치했던 폴더를 통으로 압축해서 올려드린 것입니다.

안에 설정파일 찌꺼기 같은 녀석은 들어있지 않기 때문에 깨끗합니다.

 

파티션을 나누거나 합치고 싶으신 분들은 한번 써보세요.

 

출처 : http://snoopy.textcube.com/1202 컴퓨터를 좋아하는 사람들 by snoopy

윈도우 7 Administrator 계정 이름 변경하기

방명록에 질문 남겨주신 분이 계셔서 포스팅합니다.

 

비스타나 윈도우 7을 설치할 때

 

net user administrator /active:yes

 

OOBE 화면에서 Shift + F10 누르고 위 명령어로 어드민 계정 활성화 시킨 다음 OOBE를 강제종료 시켜서 사용하시는 분들이 좀 계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Administrator 이름이 마음에 안 들어서 그러시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아무튼 이름을 변경하고 싶다고 하시네요.

 

 

 

보통은 위 화면에서 이름 변경이 가능한데 Administrator 계정은 위 화면에서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아래 방법을 이용해주세요.

 

 

 

 

 

이름을 변경하신 다음 로그오프 한번 해주시면 변경된 이름으로 로그온 하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변경을 하더라도 계정 이름만 변경되는 것이지 사용자 폴더에 있는 Administrator 폴더 이름까지 변경되는 것은 아닙니다.

 

 

출처 : http://snoopy.textcube.com/1201 컴퓨터를 좋아하는 사람들 by snoopy

윈도우 7 바로가기 아이콘 화살표 제거

 

 

주머니님께서 검정색 해결책을 알려주셨기 때문에 수정해서 새로 올립니다.

이제 완벽한 것 같습니다.

 

 

얼마전에 질문받았던 내용인데 윈도우 7에서 고전 방법으로 바로가기 화살표를 제거하기 위해 IsShortcut 레지스트리를 삭제하는 경우 핀 고정기능이 마비되는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방법을 사용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우클릭 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주세요.

 

 

 

 

 

이름 뒤에 - 바로가기 문구가 생성되지 않도록 하는건 이 글을 참조하세요.

 

윈도우 7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 생성시 바로가기 문구 생기지 않도록

 

출처 : http://snoopy.textcube.com/1178 컴퓨터를 좋아하는 사람들 by snoopy

구글 코리아 메인 페이지 변경

 

 

관련 기사

구글코리아, 초기화면 개편 단행

 

 

기사에 의하면 현재 개편된 화면은 10% 가량의 유저들에게 랜덤하게 보여지고 있다고 합니다.

저는 익스플로러에서 수차례 시도해봤으나 나오지 않았는데, 사파리에서 위 화면을 봤다는 분의 말을 듣고 설치해보니 한두번만에 위 화면이 나왔습니다.

 

처음에는 소식을 접하고 실망스런 마음이 있었지만, 그래도 다행이라 생각되는 점은 다른 포털처럼 메인 페이지에 현란한 플래시 광고가 덕지덕지 들어가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아마 그건 구글의 철학이 절대로 용서하지 않겠지요. 지난번 구글 본사에 방문했을 때 데니스 황 님께 들은 일화도 있구요. 아마 구글이 변절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세계 최초로 대한민국 구글이 시도하는 현지화 화면이니, 저는 긍정적으로 응원해주고 싶은 마음입니다. 설마설마했던 구글마저 이런 시도를 한다는건 그만큼 한국 인터넷 시장이 독특하다는 반증이기도 하겠지요. 아마 이러한 시도 때문에 비판하실 분들도 많이 계실텐데, 구글 코리아 직원 분들 상처받지 마시고 이왕 시도한 일이니 성공적으로 잘 정착되길 기원드립니다.

 

아래 스샷은 구글의 두가지 메인 페이지가 공존하는 모습을 담아 봤습니다.

 


출처 : http://snoopy.textcube.com/1199 컴퓨터를 좋아하는 사람들 by snoopy

우클릭 메뉴에 웹사이트 바로가기 만들기

※ 이 방법은 비스타 이상에만 적용 가능합니다.

 

 

우클릭 메뉴에 웹사이트 바로가기를 만들면 편리할까요?

항상 즐겨찾는 곳이라면 나름 편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CLASSES_ROOT\Directory\Background\shell\snoopybox\command]
@="iexplore http://snoopybox.co.kr/"


위 내용을 메모장에 복사해넣고 예를 들어 snoopybox.reg로 저장한 다음 그 파일에 더블클릭 해서 레지스트리에 추가해주시면 우클릭 메뉴에 snoopybox 라는 항목이 생기고 클릭하면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바로 열 수 있습니다.

 

 

 

메뉴의 이름이 꼭 영문이어야할 필요는 없습니다. 한글로 적으셔도 되고 띄어쓰기를 사용하셔도 됩니다.

그리고 여러개를 등록하셔도 됩니다.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CLASSES_ROOT\Directory\Background\shell\스누피 박스\command]
@="iexplore http://snoopybox.co.kr/"

 

 

 

만약 익스플로러를 사용하지 않고 파이어폭스를 선호하시는 분들이라면 iexplore 자리에 firefox 라고 적으시면 되겠지요?

 

 

등록된 값을 삭제하는 방법은 물론 레지스트리 에디터로 직접 HKEY_CLASSES_ROOT\Directory\Background\shell 키에 찾아간 다음 불필요한 하위 키를 삭제해주시면 됩니다. 메모장에 저장해서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CLASSES_ROOT\Directory\Background\shell\snoopybox]

 

이런 식으로 삭제하고자 하는 키 앞에다 마이너스 표시 하나 붙여주신 다음 메모장에 저장해서 더블클릭 해주시면 됩니다.

 

 

 

아 그리고 뒤에 사이트 주소를 붙이지 않으면 바로 익스플로러만 띄울 수 있겠죠?

 

예제)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CLASSES_ROOT\Directory\Background\shell\인터넷\command]
@="iexplore"

 

 

 

 

(추가1)

초보 분들을 위해 한방에 할 수 있도록 스크립트를 작성해봤습니다.

우클릭 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주세요.

잘못된 부분 있으면 고수님들 지적 부탁드립니다.

 

 

 

 

 

(추가2)

시봉이님께서 질문을 주셨기 때문에 내용을 추가하겠습니다.

특정 폴더가 바로 열리도록 만들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는 H 드라이브에 동영상이라는 폴더가 있는데, 이걸 바로 열어보도록 하겠습니다.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CLASSES_ROOT\Directory\Background\shell\동영상\command]
@="explorer H:\\동영상"


이렇게 explorer 뒤에 폴더 경로를 적어주시면 되는데 주의하실 사항은 각 하위 폴더로 들어갈 때 역슬러쉬를 한개가 아니라 \\ 이렇게 두개씩 넣어줘야 한다는 것입니다.

 

 

 

 

(추가3)

링크님께서 단축키도 되냐고 질문을 주셨는데 해보니 잘 되네요 ^^;;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CLASSES_ROOT\Directory\Background\shell\snoopybox]
@="snoopybox(&S)"

 

[HKEY_CLASSES_ROOT\Directory\Background\shell\snoopybox\command]
@="iexplore http://snoopybox.co.kr/"

 

 

이런 식으로 메뉴 키값에 기본값을 하나 만들어주시면서 괄호 안에 & 기호와 함께 단축키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우클릭 + S 누르니까 바로 제 블로그에 들어올 수 있네요 ㅎㅎ

 

 

 

 

출처 : http://snoopy.textcube.com/1196 컴퓨터를 좋아하는 사람들 by snoopy

Media Player Classic Home Cinema

 

 

홈페이지

http://mpc-hc.sourceforge.net/

 

32비트 설치버전

 

 

64비트 설치버전

 

 

 

 

32비트 무설치

 

 

64비트 무설치

 

 

 

 

윈도우 7에서 KMP에 EVR 과 Microsoft DTV-DVD Video Decoder 를 적용하니 DXVA는 탁월하게 잘 되지만 재생이 끝나면 종료가 되지 않아서 강제종료 시켜야 한다는 단점이 있더군요. 그리고 제 컴퓨터에선 별 문제가 없는데 다른 분들 말씀을 들어보니 KMP에서의 EVR은 문제가 좀 있는가봅니다.

 

아무튼 그동안 곰플, KMP, 팟플만 써보신 분들께 MPC-HC도 한번 써보시라고 소개해봅니다. 제가 잘은 모르지만 해외에서는 이 프로그램이 널리 쓰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실 저도 방금 처음 다운로드 받아봤습니다. ;;)

 

기본적으로 렌더러는 EVR이 설정되어 있고 자체코덱에는 DXVA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H.264 가속을 지원하는 VGA라면 DXVA가 바로 적용됩니다.

 

 

 

 

제가 설치만 하고 아무런 설정 없이 바로 H.264 1080p 59.94fps 동영상을 재생해봤는데 점유율은 2~4% 정도 왔다갔다 하더군요.

 

 

 

 

그리고 비스타 이상 사용자 분들 혹시 처음에 다이렉트X 오류메시지가 뜨면 아마 다이렉트X 9.0 버전이 필요해서 그런 것 같으니 DirectX End-User Runtimes (August 2009) 를 설치해주세요.

 

http://download.microsoft.com/download/B/7/9/B79FC9D7-47B8-48B7-A75E-101DEBEB5AB4/directx_aug2009_redist.exe

 

 

 

아 그런데 H.264는 자체 코덱으로 가속이 되지만 MPEG2는 가속되지 않더군요 ;;; 그래서 MPEG2는 Microsoft DTV-DVD Video Decoder로 재생되도록 연결해두었습니다. TP파일 돌려봤는데 확실히 느낌이 좋습니다. 고수님들이 왜 MPC를 고집하는지 조금은 알 것 같은...

 

 

 

 

그리고 기본 렌더러 출력범위가 0-255로 되어있네요. 그래서 색감이 진한 듯.

 


출처 : http://snoopy.textcube.com/1197 컴퓨터를 좋아하는 사람들 by snoo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