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4월 22일 목요일

Avast Antivirus Free_avast 5.0 한글판

 
Avast Antivirus Free_avast 5.0 한글판

 

 

다들 아시는 백신이죠??

 

성능이야 따로 설명 안해도 아실거고 설치해본결과 상당히 가볍습니다.

 

4.8버전에 비해 쓰기가 조금 편해 졋네요.

 

프로 버전은 얼마전부터 공개된 키가 막힌걸로 알고 있습니다.

 

프리버전도 설치직후 30일간 사용 가능 합니다만...

 

30년으로 뻥튀기도 가능하군요..ㅎㅎ

 

펼쳐두기..


qdownupdate.exe, qdownservice.exe, qdownagent.exe 삭제하기

에프디스크(Fdisk)나 빅파일등 다른 웹하드나 P2P 프로그램설치후 시작프로그램에

 

이 파일들이 설치됩니다.

에프디스크 프로그램을 지워도 여전히 시작프로세스에 상주하고 있습니다.

 

요즘들어 cpu점유율이 높다거나 인터넷사용시 렉이 심하게 걸린다거나 하면 확인해보세요.

 

먼저 작업관리자 창을 열어서 프로세스 항목에 아래 항목이 있다면 의심해 볼만합니다.

 

qdownupdate.exe
qdownservice.exe
qdownagent.exe

   

악성코드는 아니지만 악성코드 만큼이나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놈입니다.

 

이런건 그냥 놔두면 안좋겟죠?? 뭐 그냥 쓰실분은 쓰셔도 됩니다만..

 

저는 이런거 두고는 그냥 못배기는 성격이라..요넘을 삭제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그냥은 무슨수를 써도 안없어 집니다.

 

시스템시작할때 메모리에 상주하는 프로세서 형식으로 같이 시작되기 때문에

 

약간의 스킬을 써야 합니다.

 

관련 파일들은 아래의 디렉토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C:\Program Files\QuickDownloadService\qdownagent.exe
C:\Program Files\QuickDownloadService\qdownservice.exe
C:\Program Files\QuickDownloadService\qdownupdate.exe

 

명령창을 띄워서 아래 처럼 프로세서를 중지 시킨후 삭제를 해줘야 합니다.

 

서비스를 중지시키는 명령입니다.

 

net stop "QuickDownload Agent"
net stop "QuickDownload Service"
net stop "QuickDownload Update"


 

다음은 서비스에서 세항목을 삭제 하는 명령입니다.

 

sc delete "QuickDownload Agent"
sc delete "QuickDownload Service"
sc delete "QuickDownload Update"

 

이제 파일과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입니다.

 

rmdir /s /q "C:\Program Files\QuickDownloadService"

 

요래 하면 프로그램과 서비스가 모두 사라집니다.

 

좀더 쉽게 하기 위해서 배치파일 첨부 합니다.

 

그냥 배치파일 실행하시면 위의 작업 일일이 타이핑 안해줘도 같은 기능을 합니다.

 

q_delete.bat

 

제 경우 요넘들을 없애니 익스플로러로 웹서핑할때 꽤나 쾌적해 지더군요.

 

 

출처 : http://kok-chiwoo.textcube.com/636 치우천왕池

2010년 4월 11일 일요일

트루이미지 2010 (영문판) 사용방법

원문 : http://tadlee.tistory.com/137

 

[사 용 법]

1.디스크 백업 클릭

164D2A234BBECBFB2CD1E4




2, C 드라이브를 백업해야 겠지요? ...........^^"
194D2A234BBECBFC2EA161




3. 새로운 백업 아카이브 선택 (기존에 백업한게 있다면 (덮어쓰기)아래쪽을 선택하면 됩니다.)
114D2A234BBECBFD2FE394




4. 백업 할 곳은 이왕이면 C 드라이브를 피해서 하기를 권합니다.
  말 그대로 시스템이 잘 못 됐을 경우를 대비해서 백업하는 것이니, 시스템 파일과 다른 드라이브에 해야 합니다.
   전 , F 에 별도의 파티션을 나워서 백업폴더를 따로 만들었습니다.
114D2A234BBECBFE30AB90


124D2A234BBECBFE316258





5. 좌측 메뉴의 옵션의 스케출링 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예약 안함에 체크
144D2A234BBECBFF32DEDC





6. 요기가 중요한 곳인데... C 드라이브는 중요한 시스템 파일이 잇는 곳이고, 시스템 파일중에는 숨김파일도 있습니다.
   하단에 선택란에 Check 를 하게 되면 시스템 파일이나, 숨김 파일은 백업에서 제외시키기 때문에 백업후
    윈도우가 제대로 안 돌아갈수 있습니다. ==> Check 해제

124D2A234BBECC003336AD





7. 그냥 넘 어갑니다.
144D2A234BBECC013499E9





8. 태스크 이름과 주석 다는 곳입니다.
   자신이 알수 있게 세부 내용을 적어 두는게 나중에 좋을 것입니다.

  전 백업날짜의 제목으로 해서 주석에는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 이름과 제 노트북에 필요한  필수 드라이브가
  설치 되었는지 여부 , 그외 간단한 정보를 적어 두었습니다.
154D2A234BBECC0135A21F




설정이 다 되었으면, proceed 을 눌러서 진행 합니다.


-------------------------------------------------------------------------------

백업후  복구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음....아래 사진처럼 하면 복구 됩니다......ㅋ^^:"
복구를 클릭하게 되면 한번 리부팅이 되고, 복구가 계속 이어 집니다....

182ED21F4BBED2575126D0




기본적으로 백업은 나중에 PC 가 맛탱이가 갔을때를 대비해서 하는것이니,

가능하면
 
윈도우 포맷후 클린 설치 후 자신에게 필요한 필수 유틸 몇 개만 깔린 상태에서 백업

하기를 권 해 드립니다.

글작성자 : tadlee

 

=================================================================================

 

영문으로 되어 있다 뿐이지 한글판 트루이미지 2009 버전과 사용방법은 동일합니다.

 

혹 영문이라 어렵게 느끼시는분은 위 글 대로 따라하시면 쉽게 백업 복구 가능하실거 같아

 

퍼온글입니다.

 

윈도우 7 SP1 v153 한글 통합본 - 터치

 

SP1 한글 통합본 입니다.... 테스트 해보실분 한번 해보세요

Ultimate x86 (32bit) 입니다.

 

인증루턴은 변경된게 없었습니다. 기존인증법 잘 될거에요

 

...

펼쳐두기..


====================================================================================

제작자 : 터치 님

 

SP1 이 아직은 정식판은 아닙니다.

 

며칠전 유출된 베타판을 터치님이 32비트에 통합하셧네요.

 

아마도 영문판 윈도우 설치후 sp1 적용후에 한글언어를 적용하신듯~!

 

테스트용으로 써보실분께는 유용할듯..~!

 

출처 : http://kok-chiwoo.textcube.com/621 치우천왕池

Avast! Internet Security 5.0.492

 

 

접어두기..

펼쳐두기..

접어두기..


2011년 2월18일 까지 사용키와 함께 최신버전이 올라 왔네요.

 

출처 : http://kok-chiwoo.textcube.com/622 치우천왕池

Office 2010 Activator

Office2010 KmsActivator

 

사용방법

Office2010 설치후 더블클릭하여 사용하시면됩니다.

32 & 64 전부 잘되는것 확인했습니다.

 

Office2010 KmsActivator_ZWT.exe (325 KB)
http://www.multiupload.com/84S43WC8A4

 

 

64비트에서의 offic2 2010 인증스샷입니다.

 

 

출처 : http://kj153.textcube.com/38 카리스마조

Windows 7 Download

MSDN 순정판 Windows 7 Download

 

얼티밋은 아무버전이나 받은후 eicfg_remover를 실행하여 다운받은 iso를 선택하면

모든 버전 설치가 가능합니다.

 

Removal eicfg.exe (254 KB)
http://www.multiupload.com/MUP5LTR8FA

 

eicfg_remover 사용시 오류가 나오면 그냥 무시하시고 확인을 누르시면됩니다.

 

KN 버전보다는 K버전으로 받아야 인증에 문제가 없습니다.

 

-----------------------------------------------------------------------------------------------
프로페셔널 리테일 추천합니다.

다운받은후ei.cfg삭제하면 모든버전 설치 가능합니다. 

 

32비트 K
http://msft-dnl.digitalrivercontent.net/msvista/pub/X15-65853/X15-65853.iso


64비트 K
http://msft-dnl.digitalrivercontent.net/msvista/pub/X15-65854/X15-65854.iso

-----------------------------------------------------------------------------------------------

 

다운받다가 중간에 끊기면 처음부터 다시 받아야 함으로

이어받기가 가능한 다운로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운로드 받는것이 좋습니다.

 

각 버전별 다운로드 링크입니다.

 

홈프리미엄 리테일

32비트 K
http://msft-dnl.digitalrivercontent.net/msvista/pub/X15-65780/X15-65780.iso


32비트 KN
http://msft-dnl.digitalrivercontent.net/msvista/pub/X15-65782/X15-65782.iso


64비트 K
http://msft-dnl.digitalrivercontent.net/msvista/pub/X15-65781/X15-65781.iso


64비트 KN
http://msft-dnl.digitalrivercontent.net/msvista/pub/X15-65783/X15-65783.iso


홈프리미엄 업그레이드


32비트 K
http://msft-dnl.digitalrivercontent.net/msvista/pub/X15-79631/X15-79631.iso


32비트 KN
http://msft-dnl.digitalrivercontent.net/msvista/pub/X15-79632/X15-79632.iso


64비트 K
http://msft-dnl.digitalrivercontent.net/msvista/pub/X15-79934/X15-79934.iso


64비트 KN
http://msft-dnl.digitalrivercontent.net/msvista/pub/X15-79935/X15-79935.iso


프로페셔널 리테일


32비트 K
http://msft-dnl.digitalrivercontent.net/msvista/pub/X15-65853/X15-65853.iso


32비트 KN
http://msft-dnl.digitalrivercontent.net/msvista/pub/X15-65855/X15-65855.iso


64비트 K
http://msft-dnl.digitalrivercontent.net/msvista/pub/X15-65854/X15-65854.iso


64비트 KN
http://msft-dnl.digitalrivercontent.net/msvista/pub/X15-65856/X15-65856.iso


프로페셔널 업그레이드


32비트 K
http://msft-dnl.digitalrivercontent.net/msvista/pub/X15-79668/X15-79668.iso


32비트 KN
http://msft-dnl.digitalrivercontent.net/msvista/pub/X15-79669/X15-79669.iso


64비트 K
http://msft-dnl.digitalrivercontent.net/msvista/pub/X15-79971/X15-79971.iso


64비트 KN
http://msft-dnl.digitalrivercontent.net/msvista/pub/X15-79972/X15-79972.iso

 

 

출처 : http://kj153.textcube.com/27 카리스마조

윈도우 7 서비스팩 1 베타 빌드 설치

 

 

최근에 윈도우 7 서비스팩 1 베타 테스트 빌드가 유출되어 간단히 설치를 해보았습니다. 설치후 실제로 사용해보지는 않았으며 그냥 VMWare에 설치 테스트만 해보았습니다.

 

이번에 유출된 서비스팩 1(KB976932)은 영문판이기 때문에 아마 귀찮아서 설치해보실 분들은 별로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위 스샷은 한글판인데 어떻게 설치를 했냐고 질문하실 분이 계실지 모르겠는데, 영문판에 설치한 다음 한글 언어팩을 통합한 상태입니다. 빌드가 다른데 언어팩을 어떻게 통합했냐고 물으신다면... 작년에 윈도우 7 정식으로 출시되기 전에 제가 한창 언어팩 설치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무렵 포스팅했던 글인데 기억하시는 분 계실런지요...

 

윈도우 7 빌드가 다른 언어팩 통합

 

처음엔 파일 수정 없이 바로 해봤는데 99% 뜨면서 설치됐다고 나왔지만 SKU INTL 기본값 변경하려니 설치되지 않았다고 나왔습니다. 그래서 update.mum 파일 수정하고 다시 해보니 지난번과 달리 manifest 파일 삭제하지 않고도 100% 떴습니다. 물론 100%가 뜨니 SKU INTL 기본값 변경도 잘 되었습니다.

 

저는 통합본을  만들어서 설치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물론 통합본 만들지 않고 그냥 영문판과 SP1 설치 후 PE로 부팅해서 언어팩만 설치해도 됩니다.)

 

1. VMWare에 영문판 설치

2. SP1 설치

3. Sysprep으로 봉인

4. VMWare 하드를 Z 드라이브로 맵핑

5. 한글 언어팩 통합

6. GImageX로 Install.wim 캡쳐

7. 윈도우 7 한글판 원본에 교체

8. 설치

 

물론 위 과정에서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참고로 서비스팩을 설치하면 바탕화면 우측 하단에 평가본이라는 워터마크 나타납니다. 그리고 평가본 만료일이 2011년 4월 1일이라고 나옵니다. 물론 그 전에 정식 SP1이 출시될 예정이니 날짜는 크게 상관없겠지요.

 

 

제가 이 포스팅에서 여러분께 드리고 싶은 말씀은, 서비스팩에 대한 기대를 크게 가질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우선 꼬알라님의 아래 글을 읽어보세요.

 

Windows 7, Windows Server 2008 R2 서비스팩 1에 대한 소식...

 

큰 변화는 없고 단순한 누적 업데이트 모음 패키지 이상의 의미를 가지지 않을 예정이라 합니다. 제가 SP1 Notable Changes 문서를 읽어봐도 별 특이한 내용은 없더군요. 그리고 KB 리스트를 보니 200여개의 업데이트를 포함하고 있던데 그중에 VT 기능 없는 CPU도 XP 모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업데이트(KB977206)와 정품인증 WAT 업데이트(KB971033)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베타라서 그런 것인지 아니면 정식 빌드에도 포함되지 않을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출처 : http://snoopy.textcube.com/1274 snoopy

 

간만에 snoopy 님이 포스팅 하셨네요 ^^

 

요즘 책쓰시느라 바쁘신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