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1월 23일 월요일

한글오피스 2010 설치

한글오피스 2010 베타테스터로 선정되어 설치해 봤습니다.

 

인스톨 과정을 캡쳐 순서대로 정리 했습니다.

 

설치시 참고 하세요 ^^

 

설치 파일 실행하면 사용권 계약서 화면이 나옵니다.

사용권 계약서 동의함 클릭으로 설치 시작

 

설치 종류 선택

 

사용자 정의 설정

 

설치 경로 지정

 

확장자 연결

 

설치시작

 

설치시작

 

설치중

 

설치완료

 

한글과컴퓨터 홈페이지 이동

 

설치완료후 한글 2010 실행모습

 

설치 동의

 

편집탭

 

보기탭

 

입력탭

 

서식탭

 

쪽탭

 

보안탭

 

도구탭

 

제품정보

 

폴더 정보

 

저작권 정보

 

기본 테마선택 오피스 2010이 기본 설정

 

설치 종료

 

설치 완료되면 바탕화면에 한글오피스 2010 관련 파일이 추가 됩니다.

한글오피스 2010 베타테스터 선정

 

 

한글오피스 2010 베타테스터 선정에 선정 되었습니다.

 

관련 게시글들을 열심히 등록해 봐야겠네요 ^^

 

 

2009년 11월 21일 토요일

네이트온 광고로 인한 문제점 해결하기

네이트온 광고 때문에 프리징, cpu점유율 급상승 되는 증상이 있어서

 

네이트온 광고사이트로의 접속을 차단하는 방법입니다.

간단한 것이지만, 윈도7에서 차단하는 법을 소개해 봅니다. (초보용 ^^)

 

 

1. 윈도키 누른다.

 

 

2. 아래 것 입력하고 엔터키 누른다.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3. (새로 창이 뜨면) 메모장 선택하고 '확인' 누른다.

 

 

4. (hosts 편집창이 뜨면)  가장 아랫줄의 빈 공간에 아래 것 입력하고, 저장하고 창 닫는다.

 

127.0.0.1 cyad.nate.com

 

 

 

이렇게 해주시면 네이트온 하단부의 광고가 나오지 않게 됩니다.

요상한 광고?가 더 있던데, 그것까지는 차단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윈도7의 우월한 인덱싱 기능을 느껴보실 수도 있을겁니다.

사용하기에 따라서, 탐색기보다 더 빠르고 편하기도 합니다.

 

신속한 경로 타이핑과, 화살표도 적절히 이용하면 좋습니다.

3DMark 시리즈 다운로드

 

 

가끔 찾는 분들 계실까봐 링크 남겨두려 포스팅합니다.

앳파일 링크입니다.

 

3DMarkVantage1.0.1a (비스타 이상에서만 사용 가능)

ftp://ftp.atfile.com:2233/data/03/3dmark_vantage_v101_0906a.exe

 

3DMark06 Build1.1.0

ftp://ftp.atfile.com:2233/data/03/3DMark06_v110_installer_atfile.exe

 

3DMark05 Build1.3.0

ftp://ftp.atfile.com:2233/data/3DMark/05_130/3DMark05_v130_installer.exe

 

3DMark03 Build3.6.0

ftp://ftp.atfile.com:2233/data/03/3DMark03_v360_installer.exe

 

3DMark2001 SecondEdition Build330

ftp://ftp.atfile.com:2233/data/3DMark/2001seBld330/3dmark2001se.exe

 

3DMark99 Max Build200

ftp://ftp.atfile.com:2233/data/3DMark/99Max/3dmark99max.exe

 

출처 : http://snoopy.textcube.com/1171 컴퓨터를 좋아하는 사람들 by snoopy

윈도우 7 64비트에서 인터넷 연결 끊기는 문제

 

 

아수스 메인보드 사용자 중에 내장 리얼텍 랜카드 드라이버 문제로 윈도우 7 64비트에서 인터넷 연결이 끊기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저 역시 이번에 구매한 ASUS P7P55D 보드에 들어간 RTL8112L 칩셋 때문에 이 증상을 겪었는데, 저같은 경우 드라이버를 윈도우 업데이트에서 업데이트 하지 않고 그냥 RTM 빌드 처음 설치하자마자 바로 이 증상을 겪었습니다. 어떤 분들은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에 증상을 겪는 분들도 계시구요...

 

아무튼 해결책은 MS의 기본 드라이버가 아닌 리얼텍 제조사의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됩니다.

 

 

 

출처 : http://snoopy.textcube.com/1172 컴퓨터를 좋아하는 사람들 by snoopy

VMWare에 XP 설치시 무인설치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예전부터 자주 질문받았던 내용이기 때문에 포스팅해둡니다.

 

정확하게 어떤 빌드부터 Easy Install이 적용되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아마 6.5 버전부터 그랬던 것 같습니다. VMWare에서 머쉰을 새로 생성할 때 ISO 파일을 지정해버리면 VMWare가 자기 멋대로 윈도우 설치를 자동화 시켜버립니다. XP의 경우 설치할 파티션도 자기 멋대로 선택해버리고, 만약 그것이 무인설치 응답파일이 적용된 XP라 하더라도 응답파일을 무시해버리고 마음대로 설치해버립니다. 그래서 처음 그 화면에서 시디키를 입력하지 않으면 설치시에 물어보게 되죠.

 

 

 

 

윈도우 7의 경우도 마음대로 설치하는건 마찬가지입니다. ei.cfg 파일이 존재하는 MS의 순수 버전의 경우 얼티밋 버전을 넣었다면 당연히 얼티밋 버전만 보여야 하는데, 모든 에디션이 다 선택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초보 분들은 MS에서 다운로드한 ISO 파일이고 ei.cfg 파일이 분명 존재하는데도 에디션 선택이 자유로우니까 그것이 새로운 ISO인줄 착각하게 됩니다. 그냥 VMWare의 마법에 빠진 것 뿐인데 말이죠...

 

 

 

 

따라서 VMWare에 윈도우를 설치할 때는 웬만하면 ISO를 나중에 선택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래야 일반 물리PC와 같은 환경으로 윈도우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위 화면에서는 이렇게 넘겨주시고 나중에 다 만들고 나서 ISO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출처 : http://snoopy.textcube.com/1175 컴퓨터를 좋아하는 사람들 by snoopy

구글의 웹 기반 운영체제 ‘크롬 OS’ 드디어 모습 드러내

구글 크롬은 리눅스와 크롬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한 오픈 소스 운영체제다. 현재는 베타 버전으로 정식 제품은 내년 초에 공개될 예정이다.

 

크롬 OS는 웹 기반으로 설계됐다. 크롬 브라우저 내에서 작동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자유로운 드래그 앤 드롭을 지원한다. 전반적으로 휴대기기에 최적화 된 모습이 눈에 띈다.


출처 : http://www.betanews.net/article/477973

MS IE9 개발중

HTML5 준수와 속도향상을 목표로~

 

http://www.readwriteweb.com/archives/microsoft_announces_ie9_html5_css4_javascript_performance.php

 

http://news.cnet.com/8301-30685_3-10400638-264.html?part=rss&tag=feed&subj=Webware&utm_source=feedburner&utm_medium=feed&utm_campaign=Feed%3A+webware+%28Webware.com%29

 

출처 : http://blog.creation.net/419

PE를 멀티부팅 메뉴에 등록하기

지난번 포스팅했던 윈도우 7의 VHD 부팅기능을 활용해보자 글에서 제가 VHD 파일을 백업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은 PE에서 하면 된다고 말씀드렸고, 그 PE를 BCD에 등록하는 방법은 윈도우 7, 비스타 하드에서 설치하기 3탄 글과 윈도우 7, 비스타 하드에서 설치하기 최종편 글의 방법을 그대로 따라하시면 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대신 SOURCES 폴더에 다른 파일들은 전부 필요없고 boot.wim 파일만 존재하면 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 글들이 어려워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PE를 멀티부팅에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반복적인 질문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F8 복구모드를 활용하는 글까지 포스팅했습니다.

 

오늘은 그동안의 글을 대체할만한 가장 간단한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아무리 초보시라 하더라도 이 글을 통해서는 손쉽게 PE를 멀티부팅 메뉴에 등록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PE라 함은 윈도우 7 설치 원본에 들어있는 boot.wim 파일을 지칭합니다. 물론 이 파일이 아니라 복구모드에 사용되는 winre.wim 파일도 가능하고, WAIK에 들어있는 기본 PE 뼈대를 이용하셔도 됩니다. 어떤 PE를 등록해도 상관없지만 가장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 PE가 바로 윈도우 7의 boot.wim 파일이기 때문에 이 파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PE를 멀티부팅 메뉴에 등록시켜놓으면 여러가지 편리한 점들이 있습니다.

 

1. VHD 파일을 백업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2. 윈도우 7과 비스타를 하드에서 설치할 수 있다.

3. 윈도우 XP 역시 순수버전 기준으로 하드에서 설치할 수 있다.

4. ghost32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에서 고스트 작업을 할 수 있다.

5. DISKPART를 사용하여 파티셔닝 작업을 할 수 있다.

6. 윈도우 7의 자체 시스템 이미지 백업기능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복구모드로 들어가서 복구작업을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PE를 멀티부팅 메뉴에 등록시켜두면 여러가지 편리한 점들이 많습니다. 저는 그래서 항상 PE를 멀티부팅 메뉴에 등록해두고 사용합니다.

 

 

 

이 글은 비스타, 윈도우 7 유저들에게만 해당됩니다. XP 유저들은 EasyBCD로 등록시키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XP에서는 bcdedit 작업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먼저 윈도우 7 원본의 SOURCES 폴더에서 boot.wim 파일을 꺼내주시고, BOOT 폴더에서 boot.sdi 파일을 꺼내줍니다. 그리고 이 두 파일을 아무 드라이브든지 그건 상관이 없는데 반드시 루트에 두세요. 특정 폴더 안에 넣지말고 드라이브 최상위 위치에 두라는 말입니다. 저는 E 드라이브에 복사했습니다.

 

 

 

 

그리고 아래 제가 직접 만든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하신 다음 거기에 우클릭 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그게 끝입니다.

 

 

 

 

작업은 0.1초밖에 안걸립니다. 검은 창이 잠시 떴다가 사라지니까 놀라실 필요는 없습니다. 이상태로 이제 재부팅을 해보세요. 그러면 멀티부팅 메뉴에 "Ramdisk 옵션" 이라는 항목이 나올겁니다.

 

 

 

 

"Ramdisk 옵션" 메뉴로 부팅을 하면 방금 등록해주신 윈도우 7의 boot.wim 파일로 부팅이 됩니다. 여기서 이제 Shift + F10 누르시면 각종 작업을 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첨부해드린 스크립트는 루트에 파일 2개를 복사한 것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는데, 만약 루트에 파일이 있는게 보기 싫어서 예를 들어 PE 라는 폴더를 만들어서 그 안에다 파일을 넣어두실 생각이라면 스크립트를 약간 수정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수정할 곳은 총 5곳인데, 각 파일 위치에 앞에 \PE 를 추가하면 되겠죠.

예를 들어 \boot.sdi 대신에 \PE\boot.sdi 로 수정하시고, \boot.wim 대신에 \PE\boot.wim 으로 수정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PE 라는 폴더 안에 2개의 파일을 넣어둔 상태에서 위 스크립트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제가 부팅메뉴 고르는 시간을 5초로 설정해두었습니다. 너무 짧다든지 너무 길게 느껴지시면 저 부분도 수정해서 사용하세요.

 

 

 

만약 실수로 스크립트를 너무 많이 실행해서 "Ramdisk 옵션" 메뉴가 여러개 생긴 경우에는 물론 EasyBCD로도 삭제가 가능하고 직접 bcdedit 으로 삭제하셔도 되겠지만, 가장 손쉬운 방법은 시작메뉴에 검색창에 msconfig를 입력하신 다음 부팅탭에서 불필요한 메뉴를 삭제하거나, 시간을 조절하거나, 기본으로 부팅될 메뉴를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noopy.textcube.com/1170 컴퓨터를 좋아하는 사람들 by snoopy

윈도우 7 홈프리미엄 버전에서 XP 모드 사용하기

윈도우 7의 XP 모드 기능은 프로페셔널 에디션 이상에서만 사용 가능한 것으로 다들 알고 계실 것입니다. 하지만 정확히 표현하자면 버추얼 PC의 통합 기능 사용을 프로페셔널 에디션 이상으로만 제한해둔 것이 아닙니다. XP 모드의 사용권을 프로페셔널 에디션 이상으로만 제한해둔 것입니다.

 

즉 프로페셔널 에디션 이상 사용자들은 버추얼 PC에서 사용 가능한 윈도우 XP를 공짜로 제공받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제공되는 XP 모드 파일은 OEM SLP 방식으로 자동인증 되며 홈프리미엄 에디션 이하에서 XP 모드를 설치하여 실행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비록 홈프리미엄 에디션 이하 사용자들은 XP 모드의 사용권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사용할 수 없지만, XP 모드가 가지고 있는 통합 기능은 직접 버추얼 PC에 XP를 설치한 다음 통합 기능을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윈도우 7용 버추얼 PC를 설치합니다.

단, 가상화 기술을 지원하는 컴퓨터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내 CPU는 가상화 기술을 지원하는가?

 

 

32비트

http://download.microsoft.com/download/0/5/5/0554AE99-785F-45CB-B1F2-0E3ED1E6117D/Windows6.1-KB958559-x86.msu

 

64비트

http://download.microsoft.com/download/0/5/5/0554AE99-785F-45CB-B1F2-0E3ED1E6117D/Windows6.1-KB958559-x64.msu

 

 

 

설치하신 다음 버추얼 PC를 실행하여 새로운 가상 컴퓨터를 한대 만들어줍니다.

 

 

 

 

가상 컴퓨터를 만드셨다면 이제 만드신 가상 컴퓨터에 우클릭 해서 몇가지 설정을 해줍니다. 먼저 XP 설치 원본의 ISO 파일을 지정해주시고 (반드시 SP3 버전이어야 통합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킹 부분도 NAT로 설정해주시기 바랍니다.

 

 

 

 

설정을 다 하셨다면 이제 가상 컴퓨터를 실행하여 XP를 설치합니다.

 

 

 

 

XP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가장 먼저 확인해보실 부분은 바로 인터넷 연결입니다. SP3 순수버전을 설치하셨고 아까전에 말씀드린대로 NAT로 설정되어 있다면 아마 인터넷 연결이 잘 될 것입니다.

 

두번째로 하실 일은 사용자 계정에 암호를 생성하는 작업입니다. 왜냐하면 XP 모드에서 원격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원리는 결국 원격 데스크탑을 백그라운드로 이용하는 것인데 따라서 XP에 로그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암호를 생성해줘야 합니다.

 

 

 

 

인터넷 연결도 잘 되고 암호도 생성해주셨다면 이제 통합 구성 요소를 설치합니다.

 

 

 

 

통합 구성 요소 설치 마지막 단계에 보면 업데이트를 다운로드 하라고 체크박스가 나오는데 그 업데이트는 바로 RemoteApp™를 사용하기 위한 Windows® XP SP3 업데이트 입니다. 이 업데이트를 설치해줘야 버추얼 PC에 설치된 XP에서 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그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메인 PC인 윈도우 7의 시작메뉴에 등록이 됩니다.

 

위 업데이트가 설치되었다면 이제 XP 모드 안에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되면 자동으로 메인 PC인 윈도우 7 시작메뉴에도 해당 프로그램이 등록됩니다.

 

 

 

 

아울러 설정 부분에서 드라이브 공유를 지정해주시면 XP 모드 안에서 메인 PC의 드라이브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XP 모드 안에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도 예를 들어 포터블 프로그램이라든지 아니면 이미 설치되어 있는 익스플로러 6 같은 것을 메인 PC로 발행시켜주기 위해서는 수동으로 시작메뉴에 아이콘을 등록시켜주시면 됩니다.

 

윈도우 7 XP 모드에서 수동으로 프로그램 등록시키기

 

 

 

 

 

이처럼 윈도우 7 홈프리미엄 에디션에서도 XP 모드의 기능을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 프로페셔널 에디션과의 차이점이라 한다면 프로페셔널 에디션에서는 미리 Sysprep 상태로 거의 설치가 다 되어있는 XP의 VHD 파일을 무상으로 제공한다는 것이며, 홈프리미엄 에디션에서는 직접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XP를 버추얼 PC에 수동으로 설치해서 이렇게 사용해야 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출처 : http://snoopy.textcube.com/1169 컴퓨터를 좋아하는 사람들 by snoopy